신품가 10만원대 가성비 끝판왕급 PC-FI 구성 소개 (2015.12.14. 현재) 기계

일반적인 PC 스피커(액티브 스피커)의 소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좀 더 좋은 소리를 듣고자 제품 추천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고급형 PC 스피커의 가성비가 그다지 좋지 않다고 생각되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PC-FI를 지향하는 분리형 시스템 구성을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현 시점에서 신품 기준 10만원대의 예산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괜찮은 조합이라고 생각한 제품들이며, PC 외에도 TV 연결이나 거실용 오디오 시스템 구성에 참고로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 저는 해당 제품들을 모두 직접 사용해 보지는 못하였으며 소싯적부터의 변변찮은 오디오질과 유사한 제품을 사용해 본 경험, 국내외 리뷰를 참고로 하여 작성한 것이므로 객관적인 비교 지표나 근거가 없는 점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저는 각 제품의 제조사/판매원과는 일체의 관계가 없으며 본문에 포함된 제품의 링크는 가격 비교 사이트를 통해 확인된 가장 저렴한 온라인 쇼핑몰의 링크이나, 언제든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입 시에는 반드시 가격을 다시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품절 등의 이유로 해당 제품의 링크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검색을 통해서 유사 제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각 제품 사진의 출처 및 저작권은 링크의 웹사이트 및 각 사에게 있으며 본문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므로 필요하신 경우 본문의 내용을 옮기지 마시고 링크를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스피커 - 엘탁스 모니터 1 : 128,000원
http://www.wassada.com/view.php?num=313715&tb=&count=&category=2463r03r02&pg=1

상위기종인 엘탁스 모니터 3가 높은 가성비로 매우 좋은 평가를 얻고 있습니다. 엘탁스 모니터 1은 그보다는 좀 떨어지지만 그래도 제법 괜찮은 소리를 낸다는 평이며 PC-FI 용으로 사용 시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인해 컴퓨터 책상 위 설치와 사용이 좀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은 베이스 리플렉스 포트가 하단에 있어 벽면과의 거리에 영향을 덜 받는 장점과 스파이크가 기본으로 바닥면 받침에 신경이 좀 쓰인다는 점이 있습니다. (고음 유닛이 귀 높이 정도에 오도록 단단한 재질의 받침대 - 돌판, 벽돌 등 - 위에 올려놓는 것이 좋습니다)

예산을 좀 더 투입한다면 스피커를 상위기종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엘탁스 모니터 3, 모니터오디오 BX2, 와피데일 다이아몬드 220, 달리 젠서 1, 클립쉬 RB-51 II, 패러다임 아톰 모니터 V.7 등 입문급 스피커로 쟁쟁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단, 책상 위 설치공간을 잘 생각해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비슷한 예산이라면 스피커를 중고로 구입해서 보다 높은 가성비를 추구하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스피커는 좀 오래된 제품이라도 성능에 큰 문제가 없어서 중고도 괜찮거든요. 입문용으로 추천받는 PSB 알파 B1 같은 스피커도 10만원대 초중반이면 입수할 수 있습니다.

2. 앰프 - TPA3116 미니 앰프 : 본체 23.15달러 + 전원 어댑터 6.71달러 = 약 35,500원
- 앰프 : http://www.aliexpress.com/item/HIFI-Class-2-0-Stereo-Digital-Amplifier-TPA3116-Advanced-50W-50W/32342055377.html
- 전원 어댑터 : http://www.aliexpress.com/item/New-Arrival-Original-Replacement-AC-Adapter-Power-Supply-Charger-Cord-for-Toshiba-19V-4-74A-90W/32220419540.html

미니 디지털 앰프 계에서도 범접할 수 없는 가성비로 추앙받는 속칭 브리즈 앰프입니다. 인기의 이유는 일단 3만원도 안 되는 싼 가격, 그럼에도 50W+50W에 달하는 넘치는 출력, PC-FI에 적합한 작은 크기와 낮은 전력 소모에 있으며 소리 또한 진공관 앰프와 유사하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괜찮다는 평입니다. 설계상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고 개조를 통해 보다 좋은 소리를 내는 것도 가능한 제품입니다.

전원 어댑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며 입력 전압에 따라 출력이 변화합니다. 12~24V 사이의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고, 추천은 19V 4.74A (90W) 어댑터입니다. 집에 남는 19V 노트북 어댑터가 있다면 활용이 가능하며, 전원 어댑터는 가급적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사용해야 높은 음질을 얻을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사실, 링크 걸어드린 듣보잡 중국산보다는 삼성, HP같은 유명 브랜드의 노트북 어댑터 - 각종 인증 획득 제품 - 가 확실히 좋습니다)

참고로, 가격이 올라가지만 이 TPA3116 앰프로 저음/고음 조절 기능과 블루투스 리시버를 내장한 버전도 있습니다.
http://www.aliexpress.com/item/HIFI-Bluetooth-4-0-TPA3116-2-0-Stereo-Digital-Power-Amplifier-with-Bass-treble-adjust-AMP/32437061069.html

그리고 예산을 더 쓰실 수 있다면 앰프를 다음 제품으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FX-AUDIO- D802C : http://www.aliexpress.com/item/FX-Audio-D802C-Remote-Control-Pure-Digital-Audio-Bluetooth-Amplifier-Input-USB-RCA-Coaxial-Optical-Power/32440162075.html

100달러대 초반의 가격으로 24bit/192khz USB/광/동축 입력 DAC과 블루투스 리시버를 내장하고 리모컨까지 있어서 거실 TV 연결에도 바로 대응할 수 있는 편의성이 좋은 제품입니다. 출력도 80W+80W로 준수한 편이고요.

끝으로, 헤드폰까지 써야 한다면 이런 제품이 있습니다. 위 D802C 보다 높은 출력에 헤드폰 앰프까지 내장되어 그야말로 중국산 미니 앰프의 결정판이라 할 만한 제품입니다. 아날로그 입력이 RCA 단자가 아닌 것과 헤드폰 잭이 뒷면에 있는 점은 아쉽지만요.
- I.AM.D V200 BT : http://www.aliexpress.com/item/I-AM-D-V200-Digital-Audio-Amplifier-Bluetooth-4-1-CSR8670-150W-2-CM6631A-24Bit-192KHz/32594479261.html

음질이 떨어지는 블루투스 대신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이 있는 버전도 있습니다.

3. DAC - ES9023 USB DAC : 25.73달러 = 약 30,600원
http://www.aliexpress.com/item/SE1-ES9023-USB-Decoder-HIFI-External-Sound-Card-DAC-Amplifier/32342098980.html

PC의 내장 사운드가 화이트노이즈 발생 등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별도의 DAC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USB 연결로만 사용이 가능한 USB DAC 입니다. 흔히 ESS SABRE DAC 이라고 하는 제품으로 24bit/96khz 고품질 오디오 재생이 가능합니다.

이 칩셋을 사용한 제품으로 오디오퀘스트 DragonFly가 유명합니다. 위 제품은 단순한 회로 구성에 헤드폰 출력이 약하다는 단점은 있으나 가격 대비 소리는 좋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좀 더 비싸지만 측정을 통해 검증된 성능의 아래 제품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HiFimeDIY Sabre USB DAC ES9023 96kHz/24bit : http://hifimediy.com/index.php?route=product/product&product_id=83

최근의 DAC 유행은 24/96을 넘어 24/192~32/384까지 인플레가 심한 상황입니다만, KEF X300A 같은 고가의 액티브 스피커에도 24/96 사양의 DAC이 들어간다는 것을 생각하면 부족함은 없어 보이며 청감 상으로도 24/96과 그 이상의 음원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나는 좀 더 좋은 DAC을 써야겠다고 하신다면 다음 제품을 생각해 보세요.
- SMSL Sanskrit 6th : http://www.aliexpress.com/item/SMSL-Latest-6th-Sanskrit-USB-32BIT-192Khz-Coaxial-SPDIF-Optical-USB-DAC-audio-amplifier-decoder-New/32548097995.html

위 목록에는 해외 직구 제품도 포함되어 있고, 알리 무료배송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초보자 분들의 접근이 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직구가 어렵거나 빠른 배송을 원한다면 가격은 좀 더 비싼 편이지만 국내 판매원에서 구입하면 됩니다. (아래 링크 참조) 혹시 모를 초기 불량에 대한 AS도 국내 구입의 장점이 되겠습니다.

- TPA3116 앰프 :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sc.prdNo=3827652416
- 전원 어댑터 :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sc.prdNo=3444581616
- ES9023 DAC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287559982

중고 구입이 꺼려진다면 신품으로는 이게 최선이 아닐까 합니다. 20만원을 투입해서 구입할 수 있는 다른 액티브 스피커들도 괜찮은 제품들이 많지만 오디오 전문 회사에서 제대로 만든 패시브 스피커를 사용해 볼 수 있는 상기 조합은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며, 추후 부분적인 업그레이드 요구에 대응하기도 쉬우니 이런 점은 액티브 스피커로는 불가능한 재미 요소입니다.

마지막으로 한두 가지 조언을 추가하자면,

- 가급적 사운드바나 원박스형 블루투스 스피커를 음감용으로 구입하지 마십시오. 사운드바는 슬림한 디자인을 위해 작은 크기의 유닛을 사용하여 중저음이 부실하며, 그것을 커버하기 위해 중저음을 인위적으로 부풀리는 세팅이 들어갑니다. 서브우퍼가 포함된 제품은 좀 낫긴 합니다만 설치공간 상의 이점도 줄고 소리의 부자연스러움도 여전합니다.

원박스형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는 무선 연결의 편의성은 있지만 블루투스 코덱의 손실압축으로 망가지는 음질은 대책이 없고 유선으로 연결한다 해도 형태상 스테레오 분리도는 거의 포기되는 것이고 정위감도 별로입니다. 그냥 스마트폰으로 BGM 틀어놓는 용도이지 제대로 음악 감상을 하기에는 무리죠. 가격도 상대적으로 비싼 편이고요.

- DAC에 너무 많은 기대와 투자를 하지 마십시오. 오디오에 있어서 CDP와 같은 소스 기기가 실질적으로 퇴출된 이후 각 제조사들이 DAC에 주력하게 되었고 특히 PC-FI가 일반화되면서 DAC이 일반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 그 부작용인지 마치 DAC이 무슨 요술 방망이인 양 좋은 DAC만 쓰면 소리가 천지개벽하듯 좋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로 비싼 DAC을 구입하려 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 DAC은 전에 없던 것이 갑자기 튀어나온 것이 아니라 PC의 내장 사운드 회로, 스마트폰이나 MP3P 등 디지털 사운드가 재생되는 모든 기기에 들어가 있으며 일반적인 DAC의 스펙은 CD 음질(16bit/44.1kHz) 이상을 재생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아날로그단의 설계에 따라서 소리는 달라집니다만 전체 오디오 시스템에서 소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전기신호가 음파로 바뀌는 스피커이지 소스 기기인 DAC이 아닙니다. 스피커는 20만원짜리를 쓰면서 DAC에 3, 40만원을 투자하는 것은 그닥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여하튼, 오디오 시스템은 본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기 바라며 장비에 신경을 쓰기보다는 좋아하는 음악을 보다 많이 듣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ps. 기타 각종 케이블 관련
가정용 오디오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소스 기기와 앰프를 연결하는 RCA 인터커넥터 케이블, 앰프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스피커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PC-FI에서 USB DAC을 쓸 경우에는 PC와 DAC을 연결하는 USB 케이블도 있어야겠죠. 여기에 이러한 오디오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까지도 오디오 액세서리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각종 케이블은 제품 종류도 엄청나게 많고 가격 또한 천차만별입니다. 여기서 알아두셔야 할 것은 케이블에서 고가 제품과 저가 제품 간의 품질 차이는 있지만 그것이 소리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오디오 시스템에서 아주 작은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도하게 비싼 제품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적당한 수준의 제품을 사용하면 됩니다.

특히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USB 케이블은 천원짜리나 100만원짜리나 차이가 없습니다. 아울러 전원 케이블도 소리에 주는 영향이 거의 없다시피 하므로 헛돈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a. 인터커넥터 케이블 - 2RCA-2RCA OFC 케이블 : 7,340원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1316266222

DAC과 앰프 사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양 끝이 RCA Male인 케이블로 길이는 50cm 정도면 충분하고 더 길어봤자 좋을 것이 없습니다. 링크의 제품은 커넥터는 부식 저항을 막기 위해 금도금, 케이블은 OFC(무산소동)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OFC 선재를 쓴 인터커넥터로는 밑바닥 수준인데 이 정도면 무난합니다.

더 고급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그닥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만 굳이 보다 좋은 것을 써야겠다면 아래 링크의 제품처럼 RCA 커넥터와 케이블을 직접 조립한 제작 케이블의 가성비가 좋습니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839557702

b. 스피커 케이블 - LS전선 Goldflex-3 케이블 : 2,090원/m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13034141

LS전선의 OFC 스피커 케이블입니다. 국산 제품으로 가성비가 뛰어나며 일반적인 입문형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 이 이상 쓸 필요가 있을까 합니다. 이보다 상위로 가면 PCOCC나 은선 계열이 있습니다만 인터커넥터라면 모를까 스피커 케이블로는 솔직히 돈 낭비란 생각입니다.
그래도 좀 더 좋은 것이 필요하다면 역시 국내 브랜드인 오디오플러스의 주석도금 OFC 케이블인 MUSICAL 12T 제품을 쓰면 되겠습니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26139646

스피커 케이블 양단에 말굽단자나 바나나 플러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만, 가격도 좀 나가는 편이고 앰프와 스피커를 빈번하게 바꿔가며 사용하지 않는다면 별로 필요하지 않은 액세서리가 되겠습니다.

덧글

  • 푸우 2017/10/17 21:23 # 삭제 답글

    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msl ad18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k702와 엘탁스 모니터1을 동시에 쓰는 것으로 smsl ad18을 고려 중입니다. 괜찮을까요?
  • areaz 2017/10/18 09:33 #

    USB 입력시 24/96으로 제한이 되긴 합니다만 AD18도 괜찮습니다.
    혹 ALIENTEK D8을 선택하신다면 XMOS 버전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 푸우 2017/10/18 18:44 # 삭제 답글

    감사합니다..
    사실 답변 못기다리고 이미 AD18을 구매했습니다..
    아쉽지만..AD18은 블루투스 입력도 가능하므로..위안을 삼으려도 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is 2017/10/25 18:07 # 삭제 답글

    hifimediy sabre 9018 이런 제품은 광출력도 지원하는것 같은데 아날로그 연결이랑 차이가 있나요?
  • areaz 2017/10/27 07:33 #

    해당 제품에서 광출력을 쓴다는 것은 DAC 기능 안쓰고 DDC로만 활용하겠다는 것이 됩니다.
    더 좋은 DAC에 연결한다고 해도 의미가 그닥.. 그 용도면 차라리 전용 DDC를 쓰거나 더 고성능인 DAC 하나만 쓰면 되죠.
  • momo 2017/10/27 16:31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글 잘 봤습니다.

    eltax monitor I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사용 중인 인켈858앰프가 오래되서 그런지 스피커 한 쪽이 번갈아가면서 들리다 말다 합니다. 그래서 앰프를 교체하려고 검색 중에 글을 보게 되었네요.

    추천해주시는 앰프들을 잘 봤습니다.
    컴퓨터 사운드카드 또는 nano V dac-앰프-스피커 또는 헤드폰(제 컴퓨터 본체가 책상 밑에 들어가는데 문이 있어서 전면 헤드폰 잭을 사용하기가 불편해서요) 이렇게 사용하려고 해서
    앰프에 헤드폰 잭이 있는 것을 조건으로 다나와에서 검색하니 다음 두 제품이 나와서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가격대는 될 수 있으면 10만원 이내 또는 넘어가도 살짝 쯤이었으면 해서 보니 추천해주시는 앰프는 좀 부담되더라구요.

    nobsound pm1 이라는 앰프 http://prod.danawa.com/info/?pcode=3987904&cate=10324963 하고

    bitway a5 라는 앰프입니다.
    비트웨이꺼는 판매자분께 문의를 했더니 엘탁스 모니터1 스피커에 쓰기에는 출력이 강하니 a2를 사용해보라고 답변하더라구요.

    그런데 노브사운드 꺼는 출력이 20W+20W로 나와있는데요, 엘탁스 스피커에 쓰기에는 출력이 너무 낮은 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낮은 출력의 앰프를 쓰면 스피커가 망가지거나 아니면 잘 나오지 않는지요?
  • areaz 2017/10/30 23:09 #

    Nobsound PM1은.. 출력이 낮기도 하고 들어간 부품 품질이 조금..
    BITWAY A5 보다는 ALIENTEK D8이나 SMSL AD18을 권해드립니다.

    출력이 낮은 앰프를 사용해도 스피커에는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단, 저출력의 앰프로 큰 음량을 내려면 음의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넉넉한 출력의 앰프를 권장하는 것입니다.
  • momoston 2017/10/31 17:10 # 삭제 답글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레드머리 2017/11/04 11:19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정말 친절히 답변 해주심에 저도 댓글 남겨봅니다!

    저의 셋팅을 말씀드리자면
    스피커는 PC -> Bitway 저가 앰프 -> 패시브 스피커 (모델명은 ?? 저렴이)
    헤드폰은 PC -> O2 헤드폰 앰프 -> HD650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USB DAC가 없고... 추가하자니 스피커와 헤드폰 앰프가 나눠져있어서 복잡하더라구요.
    현재 이 세팅에서 어떻게 바꾸는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패시브는 추후에 좋은 모델로 바꿀 예정입니다...
    그래서 어차피 앰프도 바꿔야하니 DAC + 인티앰프정도 있는 모델을 찾는데 잘 없더라구요.
    또 O2 앰프도 연결해야하니 DAC+인티앰프+아웃풋(O2로 보낼), 또는 좋은 헤드폰 앰프까지!

    얼핏 찾아 본게 ai-101da 정도인데 이정도면 다 대체할 수 있을까요?
    나름 신중하게 샀던게 O2 헤드폰 앰프인데 ㅜㅜ 팔아야되나.. 고민입니다!!!
  • areaz 2017/11/07 00:17 #

    헤드폰이 주력이라면 O2 앰프는 남기심을 권해드립니다. 인티앰프의 헤드폰 출력단은 전용 헤드폰 앰프보다는 떨어집니다.

    편의성을 생각하신다면 USB DAC과 헤드폰 출력단이 있는 인티앰프 쪽이 좋긴 합니다. 일단 적당한 제품을 들여서 직접 들어보시고 헤드폰 앰프를 따로 쓸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앰프는 자금 여유가 있고 소형 제품을 찾으신다면 데논 PMA-60도 괜찮습니다.
  • KKE 2017/11/09 10:22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여기저기 정보 찾아보다 굴러들어왔습니다;

    모니터를 여러개 사용하다보니 책상 위 공간 문제로 D클래스 앰프 시스템을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마침 알리 11.11세일도 있고해서 앰프부터 주문을 하려는데요,
    전면 헤드폰 출력도 필요해서 i.am.d v200은 제외하고
    Alientek D8 XMOS / SMSL AD18 / Topping MX3 보고있습니다.

    D8은 역시 USB DAC 사용시 24bit 192kHz 사용에 별다른 고민이 필요없다는게 장점이고..
    AD18과 비교해서 보다가 Topping MX3가 눈에 들어오는 바람에 고민입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TOPPING-MX3-Bluetooth-Digital-Fever-Hifi-Amplifier-USB-Coaxial-Fiber-Decoder-Built-in-DAC-Amp-Auto/32830409119.html?spm=a2g12.10010108.1000016.1.1a7d8d2cOyLKGM&isOrigTitle=true

    얘는 TDA7498E 쓰는애로 출력도 조금 낮고 스펙상 딱히 특장점은 없어보이는데요, 8옴 20와트에서 THD 0.05미만으로 세부적인 표기가 된 것과
    후면패널 구성이나 전체적인 마감이 비교적 깔끔해보여서 어떨까 싶습니다(장난감같은건 가격대가 가격대이니만큼 논외로 치구요;).

    D8과 비교해서 어느쪽이 나을지, 기판 구성 볼 줄을 몰라 여쭤봅니다.

    사용환경은 데스크파이라 아무리 소리를 키워봤자 15W 넘기는일이 없지 싶고, 무선은 필요하면 그냥 크롬캐스트오디오 하나 달아줄까 싶습니다.
    스피커는 아비아노2를 사용한적이 있어서 아비아노1 생각하고 있어요.
    성향은 쏘는 소리보다는 오래 듣기 편하고 플랫한쪽을 좋아합니다;
  • areaz 2017/11/11 18:25 #

    DAC - 정확히는 USB 리시버 쪽 - 제외하면 AD18이 가장 최신에 고스펙이긴 합니다. D8은 블루투스가 없고.. MX3는 풀 디지털이 아니죠.

    셋 중에서는 AD18이 낫겠습니다만 각 제품들 소리 성향은 그닥 차이 안날 것 같습니다. 음악성 좋고 듣기 편한 소리라면 JLH 1969 앰프가 좋습니다만 클래스D 만큼 컴팩트하지는 않아서..
  • KKE 2017/11/12 02:12 # 삭제

    MX3는 풀 디지털이 아닌거군요;

    이 가격대에서 A클래스는 생각을 못했는데 있는거였네요. 다만 말씀대로 책상위에서 좀 부담되는 사이즈..
    그래서 드는 생각이 혹시 T클래스가 대안이 될 수 있을까인데, D클래스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까요?

    질문이 너무 낮은급인데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 areaz 2017/11/15 14:59 #

    T클래스는 Tripath사에서 내놓은 클래스D 앰프를 말하는 것이라 같은 겁니다.

    A클래스가 부담스럽다면 게인클론같은 AB클래스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D클래스보다는 사이즈가 크지만 소리 차이는 확실히 있다는 평이죠.
  • 그린 2017/11/13 09:23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글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 간단히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장비를 갖추려고 하는 일인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네트워크 장비로, DAC 겸 앰프로 alientek d8을 갖추고자 합니다.
    그리고 스피커는 기존에 삼성 미니컴포넌트에 있는 것을 재활용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스피커의 스펙이 3옴에 정격입력 135와트, 최대입력이 270와트입니다. 앰프는 4옴에 80와트가 규격인데, 서로 연결해도 괜찮을까요?
    이쪽 지식이 짧아서 관련 글을 검색해서 읽어봐도 잘 모르겠어서 도움을 청합니다.
    바쁘시겠지만 간단한 답글이라도 달아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 areaz 2017/11/15 15:02 #

    3옴 정도면 문제없이 버팁니다.

    ..만, 그런 스피커들이 그렇게 소리가 좋은 놈들은 아니라서 나중에 PSB Alpha b1이나 엘탁스 모니터 1 정도라도 중고로 구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그린 2017/11/17 14:07 # 삭제 답글

    아 그렇군요. 답변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사실 스피커도 바꾸고 싶은데 alientek d8 사는 것도 집사람에게 간신히 동의를 받은 터라...^^;; 그래도 향후에 말씀해주신 psb alpha b1 등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사실 psb alpha b1에 대해서는 말씀주시기 전까지 전혀 몰랐네요...여하튼 아직 아이들이 어린 점도 있고, 또 집에 마땅히 스피커 놓을 자리도 없어서 스피커를 향후 설치한다면, 거실 벽 위 부분에 스피커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답변 주신 글을 보기 전에는 jbl control 1 이나 bose 101 또는 201 정도를 눈여겨 보고 있었습니다.

    관련해서 몇가지 좀 더 질문을 드려도 괜찮을련지요.....

    우선 벽에 스피커를 설치하려면 말씀하신 엘탁스 모니터 1 (또는 2), psb alpha b1, jbl control 1, bose 101 (또는 201) 중에서 어느 것이 나을까요?

    그리고 설치 방법은 psb alpha b1 의 경우 벽에 나사를 박고 그냥 벽에 걸어서 설치하거나 인터넷에서 범용 스피커 브라켓 구입 후 스피커에 구멍이 나더라도 브라켓과 나사로 체결하여 설치, 엘탁스 모니터는 범용 스피커 브라켓 구입하여 스피커 나사 체결설치, jbl 이나 bose 는 전용 브라켓으로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어떤지요?

  • 그린 2017/11/17 21:17 # 삭제

    아이고 지금보니 제가 엘탁스 모니터 3을 2로 표기했네요...--;;
  • areaz 2017/11/23 00:05 #

    PSB Alpha B1의 경우 벽걸이 구멍이 있습니다. 포트가 뒷면에 있는 점이 좀 걸립니다만.. JBL이나 보스의 경우 전용 브래킷이 있어서 깔끔하게 설치할 수는 있지만 가격 대비 소리는 좀 떨어집니다.

    장기간 바꿈질 없이 간다면 범용 브래킷으로 스피커 인클로저에 나사못 박아서 고정하는 것도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현장에서도 그렇게 시공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스피커를 중고로 구입한다면 부담 없이 벽에 박아버려도 되겠죠. 선택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판단으로..

    풍성한 소리라면 엘탁스 모니터 3를, 균형있는 투명한 음이라면 PSB Alpha B1을 추천합니다.
  • 그린 2017/11/23 18:38 # 삭제 답글

    상세하고도 친절히 답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많은 다른 분들처럼 areaz님 글로 좋은 정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셍료 2017/12/05 02:29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음악 듣는걸 좋아하기에 TPA3116 + PSB 알파B1 스피커를 사용 중입니다. 저 혼자 사용하는 책상이 큰편인데(1200*700) 음악 감상할때는 책상에 앉은것 보다 뒤로 떨어져서 듣거나 거실에 있을때 들려오는 노래 소리가 훨씬 더 좋더라구요... PSB스피커가 워낙 커서 그런지... 책상에 앉아서 게임도하고 이것저것하면서 좋은 소리를 듣고싶은데 대안이 될만한 다른 스키퍼가 있는지요?
    그리고 하나 더 여쭤보고싶은게 있는데, 게임할때에 컴퓨터 자체에서 나는 소음이 스피커로 흘러나오는데 이걸 보완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areaz 2017/12/05 21:38 #

    소리는 공간요소도 중요합니다. 매우 근거리라면 좀더 작은 크기의 액티브 스피커 쪽이 더 좋게 들릴 수 있습니다.
    낮은 가격대로는 오디오엔진 A2+나 인티머스 타블로이드 정도, 고급형으로는 이브오디오 SC203 같은 것이 있습니다.

    PC에서 나오는 잡음은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대신 위에 소개한 액티브 스피커처럼 USB DAC 내장 제품을 쓰거나 별도의 USB DAC, 사운드카드 등을 사용하면 거의 들을 수 없어집니다.
  • 2017/12/07 11:57 # 삭제 답글

    비공개 덧글입니다.
  • areaz 2017/12/10 22:46 #

    가장 싼 것은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죠. 투자비용 0원..
    음질이 문제라면 외장형 사운드카드나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싸게는 사운드블라스터 R3같은 것도 있고..
    오디오인터페이스와 믹서가 합해진 야마하 AG03/06 같은 것도 있고 스테인버그 UR242라던가.. 그 이상도 많지만 역시나 가격이..
  • 치킨조아 2017/12/11 18:20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ad18에 xb를 물릴까 생각중인데 어떤지요?

    xb는 이미 샀고.. 앰프를 구매해야 합니다

    pc ps4를 같이 쓸 예정이라 간편하게는 ad18이 최적 선택인것 같아서요..

    아님 dac(sanskrit 6th)에 추천하시는 pm6006이나 nad c326bee 같은걸 붙이는게 날까요?

    소리에 큰 차이가 없으면 ad18로 가고.. 엄청난 변화가 있으면 후자로 갈까 합니다만 후자는 번거로워지는 느낌이네요..
  • areaz 2017/12/13 18:35 #

    음.. 소리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문제는.. AD18과 PM6006/C326BEE+DAC의 가격 차이가 적어도 3배인데.. 3배 소리가 더 좋으냐 라고 묻는다면 아닌데요.. 입니다.
    진지한 음감용이 아니라 PC, 게임콘솔 등의 멀티미디어용이라면 편리한 가성비 조합을 권하고 싶습니다.
  • 레드폭스 2017/12/23 22:54 # 삭제 답글

    nad326bee와 국산패시브스피커(크리스스피커)를 pc-fi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dac가 있어야만 사용가능하나요?
  • areaz 2017/12/25 15:09 #

    PC의 내장 사운드 출력을 쓰신다면 DAC은 필요 없습니다. 내장 사운드 음질이 마음에 안드신다면 외장 DAC를 추가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 레드폭스 2017/12/27 19:59 # 삭제 답글

    앰프와 컴퓨터는 어떻게 연결해야하나요? 너무 기초적인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 areaz 2017/12/30 23:58 #

    보통 PC 사운드 출력은 3.5mm Stereo F 이고 앰프 입력은 RCA Stereo F 니까..
    이런 케이블이 있으면 됩니다. http://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363398
  • 레드폭스 2017/12/29 22:07 # 삭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구리구리 2017/12/31 14:17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원래 블루투스 스피커인 하만카돈 오닉스를 사용중이었는데 이 글을 읽고 나니 패시브 스피커 뽐이 와서 업그레이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원래 엘탁스 모니터3 혹은 와피데일 다이아몬드 220나 psb xb를 중고로 들일까 생각중이었는데 얼마 전에 아마존에서 엘락 b6가 관세내 가격으로 저렴하게 풀렸었더군요. 지금은 가격이 오른 상태이지만 다시 그 가격으로 풀렸을 때 해상으로 받으면 26만 정도 나올 듯 합니다. 모니터3나 다이아몬드220은 중고로 10만원 후반~20만원 정도 될 것 같고 psb xb는 중고로 20만원 초중반대 정도네요.

    이 정도 가격 수준이라면 어느 제품이 가장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까요? 앰프는 d802c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엘락으로 가게 되면 더 윗급의 앰프가 필요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참고로 용도는 tv에 물리거나 크롬캐스트 오디오(현재 보유중)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들으려고 합니다. (대중가요나 팝송 위주 혹은 영화나 드라마 ost)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구리구리 2017/12/31 14:20 # 삭제

    참고로 g5 하이파이 모듈도 보유 중인데 스마트폰 통해서 들을 때 하이파이 모듈도 경유해서 스피커로 들어도
    상관없는 건가요? 아, 그리고 tv는 옵티컬만 지원을 해서 rca로 듣는 건 힘들 듯 합니다.
  • areaz 2018/01/02 18:49 #

    공간 여유가 충분하다면 스피커는 엘락 B6이 언급하신 다른 제품들보다 훨씬 좋습니다. 체급이 다르거든요.

    TV 광출력 연결까지 고려한다면 앰프는 최신?의 SMSL AD18이 좋겠습니다. D802C보다 비싸지만 그만큼은 좋은 제품입니다.

    G5 하이파이 플러스 모듈은 앰프에 연결할 때도 사용 가능하며 그렇게 할 경우 기기 직결보다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 구리구리 2018/01/03 19:58 # 삭제 답글

    답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말씀해주신 엘락 B6 중고로 구매했는데요. 빨리 들어보고 싶어서 스피커 케이블을 매장에서 직접 사왔는데 올려주신 LS전선 제품과 같은 급인지 모르겠습니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421975475&frm3=V2 이 제품인데요. 사놓고 보니까 굵기가 생각보다 굵지 않은 듯 해서요. 스피커도 오늘 도착할 줄 알았는데 택배가 지연돼서 내일 도착한다고 하네요 ㅠ.ㅠ 이럴 줄 알았으면 그냥 LS전선 제품으로 택배구매를 할 걸 그랬나 봅니다.
  • 너도없다고말해줘 2018/01/12 13:30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areaz님 예전부터 pcfi관련 여러 글 잘 보고있습니다.
    엄청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나드 C326bee쓰고있는데요.
    고장인거 같아서 먼저 여쭤봤으면 해서요.
    볼륨노브가 약 7시에서 처음 시작해서 돌아가는데요.
    9시 넘어의 볼륨에서는 이상이없는데
    그 이하의 낮은 볼륨에서는 좌측이나 우측 한쪽이 소리가 나간다고 해야하나?
    볼륨 최저의 소리가 나오다가 어느정도 볼륨을 올려주면 막혔던 관이 뚫리듯 훅하고 다시 정상적으로 출력이 됩니다.
    이게 좌우 동시에는 일어나지않고 각각 한쪽에서만 종종 일어나서
    밸러스 가변저항 문제인가싶어
    접점부활제? 페이더루브 같은거로 몇번 작업했으나 크게 나아지는거같지않아서요.
    소리의 왜곡은 없어서 다행인데
    이럴경우 그냥 수리를 보내버리는게 나을까요?
    현재는 나드를 소비코였나 어디서 취급하고있는것같던데
    다른 장비에서 수리비에 크게 데인적이있어서
    자가 수리를 해볼까 하고 있습니다.
    같은 용량의 가변저항은 찾았는데 센터클릭 제품을 도저히 못찾네요
    혹시 이런 문제가 밸런스 노브 외에 부품에서 문제가 생겨도 발생할까요?
  • areaz 2018/01/13 08:16 #

    말씀하신 증세로는 볼륨 노화에 따른 고장으로 추정됩니다. 밸런스가 아니라 메인 볼륨이요.
    메인 볼륨을 교체해 보세요. 우선 시험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메인 볼륨 분리 후 결선을 바꾸어 역방향으로 사용해 보시면 됩니다.
  • 너도없다고말해줘 2018/01/14 18:57 # 삭제

    와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말씀듣고 뜯어보니 리모콘 모터달려있어서 일단은
    페이더 루브 뿌려서 이리저리 돌려서 다시 조립후 듣고있는데
    메인볼륨문제가 맞나보네요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 kde250 2018/01/24 19:56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엘탁스 모니터1 와싸다에 특가가 뜬김에 정보찾아보다 여기까지 오게되었습니다. 패시브스피커는 처음인데(액티브라고 이름있는 물건을 써본것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klipsch의 이어폰/헤드폰을 잘 쓰고있던 차에 r-15m 패시브스피커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r-15m을 해외직구로 사면 16만 내외에 살수있을거같은데 혹시 r-15m과 모니터1중에 어떤게 나을지 의견주실수 있을까요?
    앰프 및 스피커 케이블은 모니터1에서 제시해준것과 동일하게 쓰려고합니다.
  • areaz 2018/01/27 20:43 #

    개인적으로는 클립쉬 쪽을 선호합니다만.. 비교 청취해 본적이 없어서 어느쪽이 나은지는 말씀드리기 어렵군요.
    R-15M 쪽이 사이즈가 하나 위인 만큼 그 정도의 차이는 보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 MC민지 2018/02/19 21:56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areaz님 기억하실련지 모르겠습니다.
    http://www.dealbada.com/bbs/board.php?bo_table=forum_audio&wr_id=1631
    글의 MC민지입니다.^^;
    최근까지 PSB imagineXB에 d802c를 사용중이다가, SMSL AD18이라는 모델이 핫하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혹시 들어보셨는지요? 업글체감이 될까요? d802c의 음질?에 조금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부끄럽지만, 50만원이상의 하이엔드급 으로 가긴 그렇고, 조금이나마 업글을 해보고자 하는데, 의견이 어떠실지 여쭤봅니다.
  • areaz 2018/02/21 10:52 #

    AD18이 괜찮긴 한데 D802C에 비해 체감이 클 것 같지는 않습니다. D클래스 앰프는 어느정도 비슷한 성향이기 때문에 소리를 바꿔보고자 하신다면 다른 제품을 써보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20만원 언더로 추천할 만한 제품을 보면..
    AB클래스 - LM3886 앰프 http://item.taobao.com/item.htm?spm=a230r.1.14.19.35792393JK3WUw&id=524281728892
    A클래스 - JLH1969 앰프 http://item.taobao.com/item.htm?spm=a230r.1.14.113.13c753f8YVmEY6&id=541881095272
    정도가 있습니다. 다만 이쪽은 HiFi 앰프로 부가 기능(USB DAC, 톤 컨트롤, 리모컨)이 없어 편의성은 좀 떨어집니다.
  • MC민지 2018/02/21 12:34 # 삭제 답글

    아 이렇게 답변을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외장 DAC나 사운드카드를 따로 쓰고 추천해주신 앰프를 달아서 쓰는 방법이 있겠군요.
    염치없지만, 질문이 두가지 더 있습니다.
    1. D802C에 외장 앰프를 또 물려 쓰는건, 의미가 없겠지요? 오히려 더 왜곡만 될거 같고..
    2. D802C를 분해하여, OP-amp만 따로 구매하여 교체해보는건 어떨까요? 가능만 하다면, 비용은 매우 저렴하게 음질을 향상시킬수 있을거 같은데.. 가능하다면, 추천할만한 op-amp가 있으신지요?

    arez님 덕분에 2년가까이 구성한 시스템 잘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reaz 2018/02/21 23:20 #

    D802C는 풀 디지털 앰프라서 프리 아웃이나 아날로그 OPAMP가 없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없습니다.

    음질이라고 하면 SNR, THD 같은 수치로 평가가 가능합니다만 D802C 같은 풀 디지털 앰프는 그런 음질적인 특성은 상당히 우수한 편입니다. 그러나 음색이라는 주관적인 부분에서의 차이는 분명 존재합니다. (이쪽도 사실 FR이라던가 스펙트럼 같은 것으로 수치화할 수 있긴 합니다만..)

    풀 디지털이 아닌 일반 앰프라면 소스인 DAC이나 프리앰프(또는 내부 OPAMP) 교체로의 소리 변화를 얻을 수 있겠지만 일체형 풀 디지털 앰프는 그렇게 손대볼 수 있는 요소가 적습니다. 톤 컨트롤이나 EQ를 조정해 본다거나, 아니면 스피커를 바꿔보는 방법 정도죠. 그래서 하이파이 오디오 마니아들이 공간이나 편의성, 심미적 요소의 단점을 감수하고 분리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또, 앰프도 앰프지만 현재 사용하시는 PSB 스피커가 팝이나 영화음악같은 장르에선 괜찮다는 평가입니다만 음악적으로 훌륭하다고 하기는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러니 기회가 되시면 다양한 스피커를 들어 보고 취향에 맞는 제품을 골라 보시는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 MC민지 2018/02/22 01:18 # 삭제 답글

    SNR, THD, FR같은 개념에 대해선 알고 있긴 합니다.. 다만..오디오 디바이스쪽에 워낙 문외한이라..ㅎㅎ
    그렇군요, 풀 디지털이라 건드리기가 힘들군요. 이해했습니다!
    PSB XB가 처음에는 굉장히 깔끔하고, 과하지 않은 저음에 좋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오래 쓰다보니까, 좀 소리가 빈듯한 느낌이 드네요.. (사람 욕심이란.. ㅋㅋ)
    그래서 앰프의 출력이 부족한가? 란 생각이 들었는데.. 사실상 음악적으로 그렇게 훌륭한 스피커가 아니라는 말에 동의합니다.
    나중에 크게 한번 업그레이드를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떠나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나만 여쭙겠습니다.
    당장 현 시스템에서 가성비의 업글 체감이 앰프쪽이 더 느껴질까요? 스피커쪽이 느껴질까요?
    (물론 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는걸 알지만.. 어느 한쪽만 먼저 행해진다면..)

    저번에 딜바다에서도 그렇지만, 이번에도 areaz님께 참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areaz 2018/02/25 21:06 #

    투자 금액에 따라 다릅니다만.. 예를 들면 10만원대 중국산 디지털앰프에 200만원대 스피커 물려 쓰시는 분도 계십니다.
    아무래도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바꾸는 스피커 쪽이 좀더 비중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 초식 2018/02/25 08:09 # 삭제 답글

    외장사운드카드: 사운드블라스터 Surround 5.1
    앰프: 브리즈 tpa3116 전원:19v 4a
    스피커: 엘탁스 모니터1
    나머지는 무산소 동선등 으로 구성했는데 괜찮을런지요?
  • areaz 2018/02/25 21:07 #

    사운드카드가 이미 있다면 모르겠습니다만 새로 구입하는 것은 말리고 싶습니다. 구성엔 문제가 없습니다.
  • 초식 2018/02/26 23:44 # 삭제 답글

    감사합니다 사운드카드는 원래 있던겁니다 ^^ 2만원에 싸게 구매했던거거든요
  • 아퀴나스 2018/03/01 18:25 # 삭제 답글

    아..이렇게 성심성의껏 답변을 달아주시는분 정말로 처음 뵜습니다... 한마디로 "감동"이네요^^ 특히나 처음 pc파이 해보려는 저와같은 입문자들에겐요...
    벌써 댓글만 읽어도 엄청난 공부가 되고있네요~
    오됴 카페에서 어찌어찌 하다가... 한 회원분의 추천 댓글을 보고 이 dac을 알리에서 구입해서 받아놓은 상태인데요~

    https://www.aliexpress.com/item/Aluminum-Digital-to-Analog-Converter-Toslink-Coaxial-input-RCA-output-With-Volume-Control-With-3-5mm/32842732649.html?spm=2114.search0104.0.0.20e11bf3r4UTLT

    위에 댓글등에 많이 거론된 앰프들 중 하나로 구입하려 합니다(tpa3116 부터 alientek d8인가요?? 암튼^^)여러모로 잘 어울리는 조합이 어떤걸까요~ dac는 이걸 활용할까 생각중인데 잘 몰라서 구입한거긴 합니다 별로면... 추천 부탁드리구요~ 일단 소소한 삼실파이를 만들려 함입니다~

    1.앰프 : tpa3116~
    2.dac : neoteck dac
    3.스피커 : 엘탁스모니터 1
    4.케이블: 이 부분도 솔직히 장비 못지않게 궁금한 사항인데요~ 기본부터 시작하려고 하는데.. 이정도 셋팅에 미터당 몇만원씩 하는 케이블을 물론..좋긴 하겠지만..셋팅에 비해 과유불급일런지..
    소위 막선=일반스피커선(dac도 광옵티컬과 usb케이블도 안좋은거나마 들어있더라구요^^)을 사용해도 괜찮을런지요~

    이 역시 위 댓글들 보니 areaz님 께서 추천 해주신 각각의 케이블이 있더라구요~ RCA 등등...

    3.1절이라 쉬실텐데...질문드려서 송구하고 고맙습니다~~
  • areaz 2018/03/05 23:36 #

    답변이 늦었습니다.
    링크 주신 DAC은.. 개인적으로는 구입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내부 사진 없는 제품은 가성비 유추가 불가능해서 가급적 거릅니다)

    기능과 가격, 품질을 고려해서 추천할 만한 일체형 앰프는 AD18 입니다. 유일한 단점은 USB 입력이 24/96 이라는 것입니다. 무선이 필요 없다면 Alientek D8 XMOS 정도를 추천하겠습니다만 가격이 좀 올랐고 품질면에서는 약간 떨어집니다.

    스피커 케이블은 LS전선 OFC 정도만 되어도 손색이 없습니다. RCA 스테레오같은 아날로그 신호선도 일이만원대로 충분하고 USB 케이블같은 디지털 신호선은 막선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 박찬승씨 2018/03/04 05:56 # 삭제 답글

    정말 주옥같은 글에 주옥같은 블로그군요...
    좋은 글 너무 감사드리며 송구스럽지만 질문 좀 남기겠습니다...
    모니터 3을 스피커로, meze 99 classic과 베이어다이나믹 880(600옴 모델)을 헤드폰으로 사용중입니다.
    음원은 타이달 이용해서 flac과 mqa를 주로 듣습니다. 아마 향후 더 고음질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난다면 즉시 이주 할 생각입니다.
    구성은 저가형 알리발 DAC 앰프(zhilai audio d1) 과 저가형 국내산 앰프 (bitway a3) 사용중입니다만,
    이 두가지를 업그레이드 할 겸 하나로 통합하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패시브스피커/600옴 헤드폰 모두 사용가능한 앰프에 DAC 기능까지 들어가있는 녀석들 중 약 40만원 안쪽으로 괜찮은 녀석이 있을지요?
    한방에 안된다면 기기를 3개까지는 너무 거추장스러워 무리이고, 2개정도 (앰프+댁이나 댁앰프+앰프나 댁+앰프 등)로 분리해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니터 3에서 스피커 가격 100만원 안쪽으로 소리로 구분 될 정도의 업그레이드를 한다고 치면 어떤 모델이 괜찮을런지요?
  • areaz 2018/03/06 00:16 #

    40만원 미만이라면 선택의 폭이 그렇게 넓지는 않습니다. 24/192 이상 지원 DAC 내장 앰프를 보면.. 유명 브랜드 제품으로는 티악 AI-101DA 정도가 있고, 중국 제품으로 SMSL A6 정도.. 무선 없어도 된다면 Alientek D8 XMOS 모델이 가성비는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AMP + DAC 으로 간다면 선택의 폭이 꽤 넓어져서.. 진공관 제품도 쓸 수 있고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합니다. 그리고 100만원 미만 스피커는 정말 여러가지가 있어서 주로 듣는 음악 장르나 소리 취향을 감안해서 청음 후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오디오파일해보자 2018/03/04 07:26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좋은 글 너무 잘 봤습니다.
    다양한 답변으로 식견을 넓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제가 잡음이나 왜곡에 민감한 편인데, 헤드폰용 dac겸 amp를 보던 중 aune x1s 10주년 기념버전을 발견하게 되어 홍보내용 중 극도로 낮은 잡음과 곡률을 보게 되어 문의드립니다. 이 제품이 31만원가량 하는데, 같은계열 제품으로 가성비가 더 좋은 제품이 있을까요?
  • areaz 2018/03/06 00:27 #

    비슷한 제품으로 SMSL M7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비교 테스트를 해보기 전에는 어느 쪽이 낫다고 하기 어려울 것 같지만요.
  • 킵고잉 2018/03/06 13:57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질문하나 드릴께 있어 댓글 남깁니다ㅠ
    PC FI 최근에 입문하여 사용중입니다.
    PSB B1 , 마란츠 PM5005 , HUD MX2 기기는 이렇고
    노트북 (USB) hud mx2 (gs-6 ) pm5005 (4S8) B1
    이렇게 연결하여 사용중인데 헤드폰을 사용할일이 많아
    HD600을 앰프에 꽃아 사용하면 곡마다 다른데 지지직 거리는 잡음이 발생합니다. HD600 을 PC에 직결하면 잡음이 없는걸보면 헤드폰 문제는 아닌거 같은데 해결방법있을지요?
  • areaz 2018/03/08 18:09 #

    HUD-MX2에 헤드폰을 연결하여 들을 때 잡음이 들리시나요? 라인아웃을 통해 앰프로 들을 때 잡음이 들리지 않는다면 헤드폰 앰프부 불량을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만..
  • 곰돌님 2018/03/27 16:36 # 삭제 답글

    PC FI에 갓 관심을 갖게된 완전 초보입니다^^

    검색과정에서 패시브 스피커에 관심을 갖게되어 칼라스 로빈과 AD18을 조합할려고 합니다

    책상파이를 구성할려면 스피커선은 언급해주신 스피커선중에서 고르고 길이는 어느정도로 구입하면 될까요?^^

    또 혹시나 필요한 것이나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은 어떤것들이 있을런지요? 아무것도 몰라서 질문만 많네요;;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areaz 2018/04/01 12:38 #

    답변이 늦었습니다.
    모든 종류의 케이블은 가급적 짧은 것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책상파이 스피커 케이블이라면 1.5미터 정도면 충분할 것입니다.
    칼라스 로빈이면 책상파이엔 딱이겠네요. 한번 세팅 마치셨으면 좀 오래 들어 보시고 그러다 예산이 충분할 때 업그레이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피시파이 2018/04/18 18:37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PC-Fi 초보입니다.
    그동안 훈테크 사운드트랙에 디지털앰프를 사용해 왔는데
    드라이버 때문에 더이상 쓸 수가 없어 새로운 PC-Fi 조합을 찾고 있습니다.

    현재는 며칠 전에 구입한 ES9018K2M USB DAC + Kinter MA-170 앰프에 훈테크 우드루비 스피커를 사용 중입니다.
    DAC, 앰프, 스피커를 새로 구입하고 싶은데 어떤 조합이 좋을지 추천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__)

    DAC는 현재 ES9018K2M 사용 중인데 새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1. FX-AUDIO DAC X-6
    2. SMSL 6th

    앰프?
    1. FX-AUDIO FX-502E
    2. Bitway A2

    DAC 내장 앰프는 어떨까요?
    1. FX-AUDIO D802C
    2. SMSL AD18

    스피커?
    1. 엘탁스 모니터3
    2. PSB XB
  • areaz 2018/04/19 18:21 #

    편리한 일체형 가시죠. SMSL AD18.
    스피커는 솔직히 취향문제가 커서 저 둘 중 하나가 정답이라 할 수 없습니다.
    서울이시면 날잡아 청음 한 번 도시고 가장 취향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 잠온다아 2018/04/23 13:42 # 삭제 답글

    부모님댁에 안쓰는 10년된 필립스 mcm760모델이 있는데 이걸 살리는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고싶습니다

    용도는 티비 상시연결+음감용입니다. 글에서 추천해주신 엠프를 사다가 블투 + 티비에 연결하면 될거 같은데 어느정도 성능을 보여 감이 안오네요. 리본트위터있는 스피커라 음색은 나쁘지 않았던거 같은데 단종되서 어느정도급 스피커인지 몰라서... 살릴가치가 없다면 탄젠트 x5 생각중입니다.
  • areaz 2018/04/27 08:24 #

    스피커 규격이 일반적(4옴~8옴) 이라면 AD18 정도 앰프를 구입해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서 마음에 안든다면 스피커 업글이나 앰프 매각(잘 팔립니다) 둘 중 선택하시면 됩니다.
  • 역량폭발 2018/06/02 18:25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뽐뿌에서 음향기기포럼 글 보고 왔습니다.

    엘탁스 모니터3에 연결 할 앰프를 알아보고 있는데
    검색해 보니 AD18 추천이 가장 많은 거 같네요.

    제가 현재 아래의 환경인데요.
    노트북(AUX, USB 출력), DAC(G5 하이파이 모듈, 래드손 ES100 둘다 usb 입력 및 aux 2.5mm(G5모듈은 X), 3.5mm 출력), 스피커(엘탁스 모니터3)

    AD18 올인원으로 괜찮긴한데 위의 보유 중인 DAC를 활용할 수 있다면,
    DAC 내장된 인티앰프 보다 단일 앰프를 선택하여 음질, 성능, 가성비 부분에서 이득을 얻고 싶은데요.

    혹시 위의 보유 중인 두 DAC과 연결 가능한 앰프 중 가성비 괜찮은게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areaz 2018/07/27 16:53 #

    답변이 늦었습니다.

    기타 기능 필요 없이 앰프만이라면 본문에 소개한 TPA3116 앰프가 괜찮습니다만.. 전원 어댑터라던가 화이트노이즈가 걱정된다면 SMSL SA-36A Pro 정도를 구입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www.aliexpress.com/item/SMSL-SA-36A-Pro-AMP-HIFI-Big-Power-Digital-Integrated-Tripath-Stereo-Amplifier-with-15V-3/32827188730.html

    아니면 D클래스 앰프 대신 일반적인 하이파이 오디오와 같은 AB클래스 앰프도 있습니다. 입문급으로는 LM1875나 LM3886 앰프가 괜찮을 것 같네요. http://www.aliexpress.com/item/DIY-Custom-Classic-amplifier-Black-color-Gold-Commemorative-Edition-LM1875-LM3886-hi-fi-finished-amplifier/32852989674.html
  • 역량폭발 2018/06/17 19:37 # 삭제

    안녕하세요.
    댓글이 많이 늦었습니다.

    추천해주신 목록을 고려하여 구매해야겠습니다.
    초보라서 생소한 용어도 많은데 하나씩 찾아봐가면서 해야겠네요.

    정보 고맙습니다.
    그럼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 하하9416 2018/06/19 07:55 # 삭제 답글

    lm3886 ab클래스 채용 앰프입니다. 타오바오에 프리기능 ne55인가 오피가 포함된 앰프도 있었습니다. 이제품은 블투와 pcm5102가 내장인데 오피인가 하는 부분이 기판에 안보이는데 프리기능이 빠지면 음질이 더 않좋은지요? 블투기능이 필요해서 이 제품을 선택했는데 ....

    http://m.ko.aliexpress.com/item/32816826185.html?pid=808_0008_0101&spm=a2g0n.search-amp.list.32816826185&aff_trace_key=7869786a5ef3470299cec454c5d0c122-1524616367944-01570-UneMJZVf&aff_short_key=UneMJZVf&aff_platform=msite
  • areaz 2018/06/19 23:59 #

    일반적으로, 프리앰프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다기능 앰프보다는 단순 앰프 쪽이 소리가 좋습니다. 블루투스가 꼭 필요하다면야 어쩔 수가 없겠습니다만..
  • 용용 2018/07/02 20:51 # 삭제 답글

    엠프 내장에 블루투스 가능한 액티브 스피커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디오엔진 HD6 제품을 눈여겨 보고 있는데 지르면 후회할거 같기도 하고 망설여 지네요.
    tv에 연결해서 영화도 보고 블루투스로 음악도 자주 들을 예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릴게요
  • areaz 2018/07/02 23:40 #

    그 가격대면 오디오엔진보다는 클립쉬 The Sixes가 괜찮을 것 같습니다.
  • 물만먹고산다 2018/07/13 13:25 # 삭제 답글

    현재 스완 1080iv 를 오래쓰고있습니다.
    방이 좀 작고 극 니어 필드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게임5,영화3.음악2 비율이고요.
    현재 스피커보다 작으면서 패시브,액티브 상관없이 상급 스피커 추천부탁드립니다.
  • areaz 2018/07/19 08:30 #

    작아야 한다면 액티브로 이브오디오 SC203.
    패시브로는 공간이 허락된다면 달리 멘토 미뉴엣, 다음으로 큐어쿠스틱스 Q3010i, 달리 젠서 피코를 권해봅니다.
  • 햇살사이로 2018/07/26 01:59 # 삭제 답글

    pc-fi 정말 잘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 하나가 있어서 들렀습니다.
    현재 추천해주신것중에 psbxb + 미니앰프(알리발) + usb audio dac( 3만원?) 이용해서 컴과 연결해놓았습니다.

    현재 스피커를 tv에 연결하려면 어떠한 제품이나 연결방법이 필요한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완전 초보라서 인터넷 뒤지면서 찾아봤는데 만족할만한 답변이 없었네요
    부탁드립니다
  • areaz 2018/07/27 16:52 #

    일단 이 글을 읽어보십시오. http://www.areaz.net/7230298

    현재 쓰시는 미니 앰프의 입력이 아날로그 1계통밖에 없다고 한다면 TV 연결시 케이블 연결을 바꿔야 하는 불편이 따릅니다. 셀렉터를 추가한다면 조금 낫긴 하지만 연결이 지저분해지고 조작 또한 그리 편하지 않습니다.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입력이 다양한 앰프로 교체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가성비로 권장하는 앰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ALIENTEK D8 http://www.aliexpress.com/item/Amplifier-Class-D-ALIENTEK-D8-Full-Pure-Digital-HiFi-Stereo-Amplifiers-USB-Coaxial-Optical-Audio-Power/32626433143.html

    SMSL Q5 Pro http://www.aliexpress.com/item/S-M-S-L-Q5-pro-Mini-Portable-HiFi-Digital-Analog-USB-Coaxial-Optical-Stereo-Audio/32789322349.html

    FX-Audio D802C PRO http://www.aliexpress.com/item/FEIXIANG-FX-AUDIO-pure-digital-amplifier-D802C-remote-USB-optical-coaxial-Bluetooth-AUX-input-80W-2/32428321556.html

    TOPPING MX3 http://www.aliexpress.com/item/TOPPING-MX3-Bluetooth-Digital-Fever-Hifi-Amplifier-USB-Coaxial-Fiber-Decoder-Built-in-DAC-Amp-Auto/32830409119.html

    SMSL AD18 http://www.aliexpress.com/item/SMSL-AD18-HIFI-Audio-Stereo-Amplifier-with-Bluetooth-4-2-Supports-Apt-X-USB-DSP-Full/32827216058.html
  • 현이 아빠 2018/08/25 14:39 # 삭제 답글

    이 글 덕분에 pc-fi 엘탁스 모니터 3 + d802c 조합으로 정말 잘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찌다보니 미란츠 앰프 pm6003 과 kef c5 스피커가 생겨서 거실 공간도 좁고 해서
    kef c5 스피커에 d802c 와 미란츠 앰프 pm6003 같이 물리면 어떨까 하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오디오 초보인데 이렇게 스피커 한조에 두 대의 앰프를 연결하면 문제가 있는지요? 문제가 된다면
    편의상 d802c 와 kef c5 조합이 기존의 엘탁스 모니터 3 + d802c 조합 보다 나은지 어쭈어 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areaz 2018/08/29 23:32 #

    답변이 늦었군요.

    스피커 1조에 앰프 2대를 연결하려면 셀렉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만, 저라면 마란츠 PM6003에 엘탁스 모니터 3를 쓰고 나머지는 처분해서 적당한 DAC 하나 추가하겠습니다. 그러면 충분히 오래 쓰실 수 있는 조합이 됩니다.
  • 현이아빠 2018/09/05 10:58 # 삭제

    감사합니다. 덕분에 방향을 어느정도 잡았습니다...^^
  • 처음처럼 2018/09/04 01:29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처음 이 글을 통해 스피커를 접한 입문자입니다. 많은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20만원 내 정말 한정된 예산으로 TV 사운드를 개선하고자 합니다.
    아파트인 관계로 고출력이나 심한 우퍼사용은 어렵습니다.
    TV는 optical out이 있습니다.

    1. 처음에는 소개해주신 엘탁스 모니터1 + 앰프 + DAC (혹은 SMSL AD18) 조합으로 시도해보려 했습니다. 하지만 예산이 초과되기도 하고 몇몇 분들이 제 목적에는 사운드바가 더 낫다는 의견이 있더라구요.
    2. 그래도 스피커에 미련을 못 버리고 보노보스 h1과 보노보스 h1 omega(optical in 지원), lx6000 정도의 액티브 스피커를 찾아 봤습니다. h1과 lx6000은 optical to rca converter가 필요하더라구요,
    3. 내친김에 사운드바도 알아봤습니다. jbl sb150 (서브우퍼 포함 150W, optical in 지원), lg sj2(서브우퍼 포함 160W, optical in 지원).
    http://www.areaz.net/7230298 글에 쓰신 내용들 참고하였으나 HDMI ARC 지원하는 기기는 예산 초과더군요ㅠㅠ
    그래도 위 제품들은 무선 리모컨이 제공되어 후보에 넣어 봤습니다.

    아무래도 입문자이다 보니까 다른 분들의 조언에 많이 의지할 수 밖에 없네요 ㅠㅠ
    돌아서 돌아서 다시 처음 스피커를 알게 된 이 곳으로 돌아왔습니다.
    여쭤보고 싶은 바는...

    1. 'TV 사운드 개선'이 목적이라면 한정된 예산 내에서 1~3번 중 가장 나은 방법은 몇 번일까요?
    2. 혹은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한정된 예산으로 준비하려다보니 어렵네요...
    그래도 TV 내장형 사운드보다 조금이라도 개선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 areaz 2018/09/06 23:10 #

    TV용으로 간편하게 쓰시려면 사운드바도 괜찮습니다.
    음감까지 생각한다면 엘탁스 모니터 3나 PSB Alpha B1 정도 스피커와 적당한 중국산 앰프를 중고로 구하시는 겁니다만..
    어느 쪽이 되었건 TV 내장 스피커와는 비교가 안 됩니다.
  • 처음처럼 2018/09/07 00:19 # 삭제 답글

    TV용이라면 사운드바도 무리가 없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 잇힝 2018/09/26 18:14 # 삭제 답글

    요즘 크롬캐스트 오디오라는 최신?의 기기를 써보고 이거다 싶어서 찾다가 들어왔습니다. 내용이 저에게 딱 맞네요.
  • 스린이 2019/06/12 21:43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본문에 있는 글로 Pc-fi에 대해 알게되고 ‘d802c + PSB XB’ 조합으로 입문한 사람입니다. 늦었지만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만족하며 사용하던 중 앰프를 입문기급 클래스 AB 인티앰프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마음 먹었는데 몇가지 고민들이 생겼는데 아직도 답글을 달아주시는 것을 보고 혹시나 해서 질문글 올려봅니다.

    앰프는 이곳의 댓글과 타사이트 댓글에서 추천해주신 ‘나드 C236 BEE’, ‘마란츠 PM6006’, ‘데논 PMA-720AE’, ‘온쿄 A-9050’중 하나로 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일단은 PM6006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제 소스기기인 노트북에서 USB포트와 3.5mm단자로만 출력이 가능해서 외장 DAC을 들여야 할 것같은데 어떤 모델이 괜찮을까요??(내장 사운드카드는 쓰고싶지 않습니다.)
    1. 유전원일 것
    2. 헤드폰 앰프는 필요 없음
    3. HUD-mx2라는 모델에는 USB입력시 전원 자동 ON/OFF 기능이 있는데 이와같은 기능이 꼭은 아니지만 있으면 좋을것같습니다.

    근데 위의 세가지 사항은 두 번째 질문이랑도 이어지는데요...


    두 번째 질문은 케이블 연결에 대한 것입니다.
    현재 스피커를 책상에 올려놓고 니어필드라고 할 수 있을만큼 가까이에서 듣고 있는데요, 뭔가 멀리서 볼륨을 크게 올리고 들었을때에 비해 소리가 별로입니다. 양 스피커의 트위터와 제 위치가 삼격형 모양이 나와야 좋은 배치라고 알고있는데 당연히 그렇게 되지도 않고요. 그래서 책상을 멀리 떨어트리고 플로어스탠드를 구입해서 방 배치를 다시 해볼 생각입니다. 최종적으로 생각하는 구성은 아래와 같은데요.

    노트북 - (USB A to B 케이블) - 외장 DAC – (RCA 케이블) - PM6006 – (스피커 케이블) – PSB XB
    라즈베리파이 + 라즈베리 파이용 DAC – (RCA 케이블) – PM6006 – (스피커 케이블) – PSB XB

    책상과 거리를 두기로 했기 때문에 어느 케이블 하나는 반드시 길어져야 할텐데 어떤 케이블들은 길어지면 안좋다고 검색을 통해서 보게 되었습니다. 제 생각엔 USB케이블이 디지털이라 길어져도 상관 없을것같은데....... 어느 케이블을 길게 하는게 음질적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 한건가요??(벽을 빙 둘러서 연결할것이기 때문에 4~5미터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책상위에 공간이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아서 앰프는 스피커 쪽에 두었으면 하고
    DAC을 앰프 및 스피커쪽에 둬서 (USB A to B) 케이블을 길게 뽑을지
    DAC을 노트북 옆에 둬서 (RCA 케이블)을 길게 뽑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DAC을 고를때 고려했던 세가지 사항은
    1. USB전원은 케이블이 길어지면 안좋다는말을 어딘가에서 봐서
    2. (일단은 USB A to B 케이블이 길어지는게 좋을거라는 가정 하에)DAC이 책상에 없으면 헤드폰 앰프는 쓸 일이 없어서
    3. (일단은 USB A to B 케이블이 길어지는게 좋을거라고 가정 하에)DAC이 책상에서 멀어지면 On/Off가 성가시기 때문에
    때문에 저렇게 고른건데 USB A to B케이블이 길어져도 전원공급에 문제가 없으면 USB전원도 상관 없고, RCA 케이블이 길어지는게 더 좋은 배치라서 DAC이 책상에 있게되면 자동 On/off 기능이 없어도 좋고 헤드폰 엠프 기능도 있으면 좋습니다.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면 쉬운데 말로 설명하려니 글재주가 없어서 힘이드네요.
    요약하자면
    1. 외장 DAC 추천
    2. USB A to B, RCA, 스피커 케이블 중 길어져도 상관 없는 케이블
    이정도가 되겠네요. 글이 너무 정신 없어서 죄송합니다 ㅠㅠ
  • areaz 2019/06/20 09:14 #

    요즘 좀 바빠서 답변이 늦었습니다. ;;

    우선 두번째 질문부터.. 아날로그 케이블을 짧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DAC을 앰프와 같이 두시고 PC에서 조금 긴 USB 케이블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외장 DAC 추천은 가격 폭이 너무나 커서 예산을 알아야 추천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10만원대에서 고른다면 TOPPING D10이나 D30 정도?

    그리고.. 입문기라지만 소리 성향 차이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무엇보다 스피커가 크고요. 현재 쓰시는 PSB는 니어필드에선 조금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으니 빵빵한 팝, 락 위주가 아니라면 스피커 교체를 생각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간이 되시면 샵에서 청음하시고 구입하시는 것이 최고입니다.

    앰프의 경우에도 마란츠, 데논, 온쿄, 나드의 소리 특성이 사뭇 다르다고 하니 주로 듣는 음악과 사용하는 스피커에 맞추어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스린이 2019/07/01 10:39 # 삭제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답장이 늦었네요^^;;

    새로 시스템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너무 궁금했던 부분인데 해소가 되었습니다.
    오디오에 관심을 가지게 된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잘 모르는 제가 봐도 이 세계에 미신같은게(?)이 많다는걸 느꼈습니다.
    그런데 areaz님은 과학적으로 납득이 가게끔 설명을 잘 해주셔서
    타 오디오 커뮤니티나 카페 눈팅중에 areaz님의 글이나 댓글이 있으면 관심분야가 아니어도 유심히 보곤 합니다.^^

    스피커는 아직은 여유가 안 되어서 차후에 여유가 되면 업그레이드 할 생각이고,
    (외장 DAC을 들일것이지만 전원관리등의 귀찮음으로) 앰프는 일단 광입력 dac이 있는 마란츠 pm6006, 온쿄 A-9050, 온쿄 A-5vl로 좁혔습니다. (크롬캐스트 오디오에 직결, 차후 TV에 직결을 고려해서)
    음악은 특별한 취향은 없고 그냥 한국대중가요, 팝, 제즈 정도 듣는 것 같습니다.
    혹시 저 세 제품에 대한 의견도 들을 수 있을까요????
    위의 제품들과 비교해서 c338같은 나드의 클래스d 앰프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 areaz 2019/07/03 09:26 #

    음색에 대한 평은 매우 주관적이라 딱 잘라 이거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세가지 앰프 중 마란츠 PM6006은 현재도 생산중인 제품이고 온쿄 두 모델은 사실상 단종인 제품이죠. 마란츠는 흔히 풀어진 저음과 화사한 고음, 온쿄는 별다른 특색 없이 무난한 소리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입니다만 A-90X0 시리즈와 A-5VL도 소리는 좀 차이가 있는 모양입니다. A-5VL 쪽이 출시가격이나 물량투입으로 보면 더 고급 제품입니다만 외국의 유명 리뷰에서는 A-5VL이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적도 있습니다.

    나드 C338은 디지털의 장점을 살려서 블루투스나 크롬캐스트 스트리밍까지 지원하는 다기능 앰프입니다만.. 디지털 앰프에 대한 일반적인 악평 - 편견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 에서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제품인 것 같고 그래서 그렇게까지 인기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취향 문제의 선택이 되겠습니다만.. 일단 현재 사용 중인 스피커가 이른바 팝, 락에 보더 더 잘 어울리는 소리 성향이고 좋게 말해 빵빵한 에너지감이 있는 스피커라서 그 장점을 더욱 살리고자 한다면 데논이나 나드 앰프를, 보완적인 선택이라면 마란츠나 온쿄를 선택하면 어떨까 합니다.

    또한, 향후 쓰고자 하는 스피커에 대한 매칭이나 환금성;;도 생각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의 바꿈질까지 고려하면요.
  • 스린이 2019/07/05 16:54 # 삭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앰프를 psb 스피커의 성향과 보완적인 관계로 가져가고 싶고, 또 내장 dac을 포함하고 있는 모델을 원하므로 추천해주신 모델 중 마란츠나 온쿄쪽으로 가야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에 말씀하신 환금성까지 고려하면 역시 마란츠쪽으로 좀 기울것같네요.

    블로그의 본 글과, 커뮤니티들에 남기신 글과 댓글들로 정말 많이 배워갑니다. 저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 글로 Pc-fi에 입문했을 거라고 생각되네요. ㅎㅎ 다음 방문은 아마 스피커 업그레이드 때가 되겠죠? 염치없지만 그때도 조언 구하러 오겠습니다. ㅎㅎ 덕분에 즐거운 오디오생활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보초 2019/09/28 00:26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이번에 smsl ad18 + 엘탁스모니터3로 pcfi 입문하게됐습니다.
    areaz님이 쓰신 이 글과 쌓인 댓글답변들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areaz 2019/10/22 08:45 #

    이런 글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즐음하시길!
  • 나눔팁 2019/10/29 07:36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글 잘 봤습니다.
  • 초짜 2019/11/25 16:12 # 삭제 답글

    pc fi 구축하려고 어제부터 인터넷 검색을 해봤는데 이 글 만큼 시원하게 짚어주는 글이 없었습니다 아주 많이 참고가 됐습니다 혹시 지금 시점으로 업데이트 할 만한 내용이 있는지요...있다면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링크 달아주신 곳 가봤는데 판매를 안한다고 해서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areaz 2020/01/09 17:35 #

    죄송합니다. 답변이 좀 많이.. ;;; 늦었습니다.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건 알고있습니다만 작년 말부터 무척 바빠진데다 건강상 문제로 손을 못대고 있습니다.
    개별 문의는 가급적 답변을 드리고 있으니 궁금한 것이 있으시다면 물어보세요.
  • 와우 2020/01/03 14:19 # 삭제 답글

    최고로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특히 dac과 기타 선들 부분은 갖고 있던 의문과 미련을 날려버렸습니다. 저 멀리 우주 너머로~
  • cyber 2020/04/28 03:22 # 삭제 답글

    dac 검색하다가 올리신 글을 봤습니다. 고수이신거 같아 도움 좀 부탁드릴까 합니다. 저는 주로 오래된 인티앰프에 물려서 소리를 듣는 편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몇몇 소스기기로 소리를 들으면 귀가 아프면서 두통이 생기고 매우 피로해져서 기절(?)하는 현상이 생기고 있어서, 유튜브 영상이나 음악을 듣기가 힘듭니다 (이어폰, 헤드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기절하게 하는 음원은 : 제 노트북 그램의 아날로그 출력, 지프로2의 아날로그 출력, 프로디지 큐브, hifime diy의 세이버 usb dac, 사블xfi 등이 있으며, 특히 프로디지 큐브나 세이버 덱은 날카로운 소리에 더 머리가 아프더군요
    제가 가진 음원에서 그나마 귀가 편하고 들을만한 것들은: 사블라이브5.1-pci(매우양호), 아이폰 4S(양호), 아이폰 6S(들어줄만) 정도입니다. 그렇지만 이것들은 범용성이 떨어져서 노트북이랑 사용할 수 가 없지요 ㅜㅜ
    그래서, 지인이 우연히 쓰고 있는 오딘스트 hud-mx2 를 발견, 하루 빌려서 들어보았는데, 거의 귀가 안하프더군요! 약간의 피로감은 있지만 음악 감상이 즐거운 수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기본적인 음감이나 소리 듣는데 25만원이나 줘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혹시 이것은 당연한 비용인데 내기 싫은 제 욕심인건지... 아니면 혹시 저렴한 가격의 적당한 음질에 귀가 편한 dac 같은 것이 있을까요?
  • areaz 2020/04/30 12:41 #

    음~ 좀 특이한 케이스로 보입니다만..

    USB DAC으로 25만원은 그렇게까지 비싼 제품은 아닙니다. 구형 제품이긴 해도 오딘스트 HUD-MX2 제품이 마음에 드셨다면 그것을 구입하시는 것도 좋고요.
    말씀하신 것을 보면 ESS DAC 제품이 잘 안맞으시는 듯 하니 다음 제품들을 들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Musical Fidelity V90
    Chord Mojo
    Meridian Director
    SMSL Sanskrit 10th MKII
    Schiit Modi 3
    Topping E30
  • 민이래요 2020/05/04 23:46 # 삭제 답글


    오랜시간 많은 분들께 도움을 주신 글을 보고 저도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
    사용환경은 서재방이며 소리를 크게 켤수있는 상황이 되지 않습니다.
    평소에는 헤드폰으로 보통 들으며, 가끔은 스피커로 듣고 싶어서 저렴한 환경 구성을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현 구성 : 노트북 - 오딘스트 MX2 - 헤드폰(소니 MDR-1RBT)

    활용 가능 스피커 : 모니터 오디오사 RS1 [ RS6는 거실에서 아이들 교육용으로 활용중 ㅜㅜ]

    여기 덧글을 쭉 읽어보니, 알리발 AB클래스 앰프가 있는데 30W x2로 적혀있어서 RS1(6옴, 80W)를 물리면
    앰프가 버텨줄까 생각이 듭니다. (번역된 글로보니 전력증폭기 50W x2보다 더 중대하다라고 번역이 되었는데, 해석이 안되네요. ^^)
    RS1에 물리는데 너무 버겁다면 와트가 좀더 높은 추천 앰프가 있을까요?
    [초보적인 질문. AB클래스 앰프는 모두 전원부가 제품 내부에 있는건가요?]

    AB클래스 앰프 가격이 너무 높아지면 Class D 앰프 중에서 구매하려고 합니다.

    i am d v200
    fx-audio d802c
    Sabaj A4 (BT버전-4.2) [이건 제가 검색하다 본 제품]
    중에서 고르고, 오딘스트 DAC은 회사로 옮겨와서 야근할때 헤드폰용으로 활용하려 합니다만, 되도록이면 집에서 활용하고 싶습니다.

    오딘스트 DAC이 있기 때문에 AB클래스 앰프가 가격과 (스피커와) 매칭이 적절하다면 AB클래스 앰프를 선호합니다.
    (블루투스는 사용이 늘어날 즈음에 별도의 동글장비 등을 구매하거나 Class D 앰프에 블루투스 있는 저렴이를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라고 생각되어
    이번에 구매한다면 Apt-X HD 등 되도록 최신spec이 반영된 제품을 구매)

    스피커 사양 : 모델명 RS1, 6 Ohm, Power Handling(RMS) 80W, Recommended Amplifier Requirements(RMS) 25-100W
  • areaz 2020/05/08 18:45 #

    안전성을 고려하면 스피커의 허용입력이 앰프의 최대출력보다 큰 편이 좋습니다.
    가정에서의 실제 사용을 고려하면 스테레오 30W*2 정도의 출력은 적당한 편입니다. 말씀하신 AB클래스 앰프를 구입하셔도 됩니다.
    여유가 되시면 다음과 같은 LM3886 앰프를 권해드립니다. http://www.aliexpress.com/item/32799150171.html
  • Haunter 2020/06/27 22:40 # 삭제 답글

    마땅한 알리발 JLH 1969 앰프 판매처 링크 부탁드려도 될까요?
    너무 늦은 질문이었다면 그냥 위의 LM 3886 구하겠습니다.
  • Haunter 2020/06/30 20:14 # 삭제

    타오바오 JLH 1969 주문했습니다.
    직구는 처음이지만 어떻게든 결제 되더군요.
    굳이 요청드릴 내용은 아니었네요.
  • Haunter 2020/07/21 08:18 # 삭제 답글

    처음 오디오시스템을 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Wharfedale Diamond 220 중고 14만, JLH 1969 15만, 그외 2만원 정도 들어 시스템을 구할 수 있었는데,
    소리가 참 예뻐서 제게 과분할 정도네요.
    감사합니다.
  • areaz 2020/07/24 17:05 #

    확인이 늦어서 답변을 못드렸습니다. 좋은 제품 잘 골라서 들이셨군요.
    너무 기기에 욕심을 내다보면 정작 음악 감상에 소홀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충분히 즐기시길 바랍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다음덧글    이전덧글 ▶



통계 위젯 (블랙)

87
43
1006780

안내

  • 링크를 하신 후에는 가급적 전언판에 덧글로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비영리적 목적으로 출처와 저작자를 밝히고 변형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게시물의 자유로운 이용을 보장합니다만, 게시물 하단에 촬영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진의 무단도용을 금합니다.
  • 비로그인 덧글을 막지 않습니다만, 통신상의 일반적인 예절을 준수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운영자는 '정치' 카테고리 게시물의 덧글에 답글을 달지 않사오니 양해 바랍니다.
  • 외부 컨텐츠

    DNS server, DNS service